본문 바로가기

서양 고전, 고전 소설 리뷰, 고전 소설 의미 해석

다독의 개념과 역사

다독의 개념과 역사

다독의 개념과 역사
다독의 개념과 역사

다독이란 무엇일까? 다독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xtensive Reading을 번역하면 다독이라는 단어로 번역이 되고 있습니다. 영어와 한글의 번역 한계 때문에 어쩔 수 없기는 하나 영어의 extensive라는 개념을 많은 자료의 개념의 다독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것은 두 언어 간의 번역의 한계인 것 같습니다. Extensive Reading의 용어를 우리말로 다독 정도로 소개하고 이 이후에는 원어 개념을 살리기 위해서 Extensive Reading 또는 ER이라는 용어로 쓰겠습니다. Extensive Reading의 학습 개념은 모국어의 학습전략과는 다릅니다. L1 모국어의 학습 전략이 이미 모국어를 자연스럽게 터득한 학습자가 모국어로 리딩 학습을 활동하는 것과 2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학습자가 되어 모국어가 이미 자리 잡은 상태에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습득하고 향상하기 시도하는 리딩 학습은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외국어로서 영어 학습 활동의 일환으로 리딩을 한다는 것은 모국어처럼 행해지는 리딩 학습과는 많이 다릅니다. 특히 영어 초급 단계 학습자의 경우 듣기, 쓰기, 읽기, 말하기의 모든 언어 구사능력이 아직 시작단계에서 해당 언어 학습자들이 학업 후 취업이나 사회생활에서는 시험 점수와 거리가 먼 말하기의 유창성과 실제 듣고, 읽고, 쓰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그래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습득 과정은 참으로 멀고 험난한 길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영어 유치원에서부터 시작하여 초중고를 거치는 동안 영어에 대한 시행착오는 강의 앞부분에서 언급한 호머의 일리아드 주인공만큼이나 파란만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Extensive Reading이 기존의 영어 학습자들의 모든 영어 학습에 대한 시행착오를 모두 해결한다는 것 또한 과장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학습 실행 과정에서 학습자가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보면 지금까지 학습자들이 시도했던 영어학습보다는 좀 더 효율적이고 의미 있게 영어학습을 경험하리라 생각합니다.

다독의 큰 장점

Extensive Reading의 가장 큰 장점은 리딩 자료를 학습자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시키고 리딩이라는 언어 인식 과정을 통해 영어의 4가지 기능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를 습득하는 학습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경우, 한국적인 영어학습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환경도 모순점은 비슷합니다. 즉, 영어에 대한 제한된 노출이라는 환경적 요인입니다. 학습자들이 영어를 배울 때 대부분 제한된 단어와 문장의 이해부터 영어학습을 시작하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를 영어 대 한글로 번역 매칭 하여 암기한 다음 문장의 구조를 영어로 리딩을 한다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Extensive Reading은 초기 영어학습자의 영어학습에 대한 파악 가능한 모든 학습 장애 환경과 요인을 파악하여 학습자가 영어 리딩을 통하여 영어를 무리 없이 접할 수 있고 효율적인 학습 진입 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큰 기능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적인 영어학습자의 경우 대부분 영어학습의 목적이 대입과 취업이라는 테스트 중심의 자격시험 내지는 시험 점수 획득의 목적으로 영어 학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때문에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다양한 자료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영어를 부담 없게, 부담 없이 배우기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현실적으로는 거의 환상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보면 사실 우리에게 필요한 영어 능력은 시험점수 이상의 효율적이고 유창한 영어 사용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또 현실입니다. 참으로 모순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습과정의 커리큘럼은 영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할 수 없는 상황인데 현실의 영어 학습과정은 주어, 동사, 목적어의 어순을 파악하여 번역하는 과정입니다. 사실 이런 과정은 외국어 습득이라기보다는 모국어를 통한 번역의 훈련 같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죠. Extensive Reading은 번역이라기보다는 어떤 과정이, 학습과정이 학습자에게 영어의 다양한 측면을 노출시켜주는 것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학습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자의 해석, 암기 같은 과정을 모두 제거하고 학습자의 영어 텍스트에 대한 자연스러운 접점을 연결하는 다양한 테크닉과 학습전략이 있다는 것입니다.

다독의 역사

Extensive Reading의 역사는 우리에게 좀 생소하지만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진 영어 학습전략 중의 하나입니다. 교육학적인 측면에서 영어교육에 Extensive Reading이 응용된 것도 1917년 파머가 제시한 리딩 학습의 전략의 하나로서 extensive라는 용어의 개념을 응용한 것이 있습니다. 파머의 Extensive Reading이 의미하는 것은 Reading book after book, 그리고 rapidly, abundant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가 주장하는 이런 학습전략의 핵심은 언어의 습득 초기단계에서 학습자는 언어의 meaning, 의미를 어떻게 느끼고 알아갈 것인가 즉, 해당 언어의 구조나 규칙보다는 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의미에 중점을 둔 느낌과 경험을 중요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에 대한 문장 구조의 규칙성과 문법성을 먼저 배우는 방법은 규칙을 통하여 그 언어를 안 다음 의미를 깨닫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당히 미세한 차이지만 장기적인 영어 학습 전략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즉, 학습자가 영어에 많이 노출되어 영어의 의미를 다양한 감각으로 느낌을 통해서 의미를 인지해가면서 그 후에 그 언어에 대한 규칙이나 문법성을 터득할 것인가 아니면은 영어를 먼저 분해하여 안 다음 영어에 대한 지식을 쌓고 나서 그 의미를 알아갈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본 강의의 영어 학습 전략에 대한 핵심 메시지는 기존의 문법 번역식 영어학습이나 공교육 영어 커리큘럼의 모든 방식을 부정하거나 단점을 부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Extensive Reading 학습전략의 장점을 최대한 응용하여 기존의 문법 번역식 학습의 단점을 보완할 수도 있고, 기존 학습전략의 장점을 응용하여 Extensive Reading의 단점을 보완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