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좋아하는 소설 '제인 에어' 해석
Charlotte Bronte의 제인 에어, 누구나 선호하는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Charlotte Bronte의 작품은 이야기의 서술 방식이 어렵지 않고 세팅이나 플루트가 복잡하지 않습니다. 또한 너무나 유명한 작품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영화나 텍스트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특히 BBC 드라마 시리즈를 참조하시면 단편영화로 제작된 것부터 미니시리즈물까지 다양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영화로 작품을 감상하셔도 상당히 훌륭한 작품입니다.
제인에어 작품의 내용
작품의 내용은 제인 에어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됩니다. 제인 에어가 부모를 잃고 숙모, 미시즈 리드 집에서 얹혀사는 부분은 이야기의 첫 부분입니다. 이 시절 숙모와 숙모 아이들과의 차별 대우와 따돌림은 제인 에어에게 큰 상처로 남습니다. 결국 숙모가 제인 어어를 더 이상 돌보지 않고 환경이 열악한 기숙학교로 제인 에어를 보내게 됩니다. 이 기숙학교, 로우드스쿨의 열악한 환경은 그때 당시 영국의 평범한 사회계층의 환경이기도 했습니다. 헬렌과의 만남과 또 헬렌의 죽음은 제인 에어의 어린 시절에 있어서 중요한 트라우마와 과거의 기억, 상처로 남습니다. 이 기숙학교에서 헬렌과의 만남과 우정은 어린 시절 제인 에어에게 중요한 기억이 될뿐더러 죽음에 대한 사랑에 대한 우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헬렌의 착하고 순수한 심성이 열악한 환경을 이기지 못하고 추위와 굶주림과 병으로 죽어가는 모습은 제인 에어의 심리적인 죽음을 대변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제인 에어가 힘든 어린 시절을 극복하고 성인이 되어 가정교사로서 첫 번째 삶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동안 기숙학교에서 겪었던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남은 심리적인 강함과 용기는 제인 에어에게 앞으로 살아갈 삶의 모태가 되기도 합니다. 가정교사로서 직업을 얻게 되는 가정의 주인이 로체스터입니다. 로체스터는 제인 에어와는 신분이 다른 높은 귀족 신분의 사람이었습니다. 제인 에어의 독립적인 성향의 강한 의지를 가진 캐릭터에서 로체스터는 미묘한 끌림을 느낍니다. 제인 에어 또한 로체스터에게 호감을 갖지만 신분의 벽이라는 걸 느끼면서 힘들어합니다. 그러나 로체스트에 대한 연민의 정과 사랑하는 마음은 신분의 벽이나 조건들을 뛰어넘을 수밖에 없는 수준까지 이르게 됩니다. 결국 제인 에어는 신분의 벽을 뛰어넘어야 되는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미스터 로체스터와 결혼을 하게 되는 즉, 결혼식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결혼식 과정에서 미스터 로체스터가 이미 결혼한 남자였고 그들의 집 꼭대기 비밀의 방에 숨겨진 정신이 온전하지 않은 미친 여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제인 에어에게는 감당할 수 없는 충격이었고 미스터 로체스터에게는 제인 에어에 대한 강력한 열정, 사랑 때문에 밝힐 수 없는 비밀이기도 했습니다. 이 스토리의 특징은 어떤 독자가 읽어도 재미있는 소설입니다. 그러나 좀 더 관심을 갖고 볼 부분은 여성 주인공의 외모와 성격입니다. 이때 당시 여성의 지위는 사회적으로 남성과 비교될 수 없는 낮은 위치의 불평등한 관계였습니다. 제인 에어는 그런 편견과 불평등한 관계 속에서도 자기를 사랑하고 자기의 신분을 뛰어넘은 로체스터를 사랑하게 됩니다.
해석
즉, 상황과 사회적 구조, 전통, 관습이 요구하는 의무나 틀을 의지를 굽히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하는 무모한 캐릭터로 표현됩니다. 특히 이때 당시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위치는 남성의 부속물 내지는 보조 역할로써 항상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아름다운 외모로 분위기를 장식하는 정도의 역할이었습니다. 그러나 제인 에어의 외모는 모든 작품을 통하여 아름답다는 표현이 전혀 없습니다. 모든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고집이 세고 의지가 강하고 외모에는 드러낼 매력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그때 당시 사회상황과 다른 소설의 여주인공처럼 외모가 없어도 그녀의 역할은 어떤 아름다운 주인공 못지않게 강력한 캐릭터의 소유자로 등장합니다.
'서양 고전, 고전 소설 리뷰, 고전 소설 의미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만과 편견 소설 해석과 내용 (0) | 2022.07.23 |
---|---|
Miguel de Cervantes - 돈키호테 작품의 특징 (0) | 2022.07.23 |
괴테의 파우스트 해석 (0) | 2022.07.22 |
Emily Bronte - 폭풍의 언덕 소설의 특징 (0) | 2022.07.22 |
Daniel Defoe - 로빈슨 크루소 작품의 특징 (0) | 2022.07.22 |